이야기를 ‘글’이 아닌 사람의 ‘목소리’로 전달하는 ‘낭독’은 문학의 가장 원초적인 모습입니다. 그리스 시민들에게 비극을 들려주던 호메로스처럼, 오늘날 한국을 대표하는 일군의 작가들이 관객의 가까이에서 이야기를 전달하는 화자(話者)이자 배우, 또한 연출가로서 피크닉을 찾아옵니다. 텍스트와 목소리, 음악과 영상이 한데 어우러진 피크닉 소설극장은 다른 차원의 감각을 통해 문학 작품을 경험하는 특별한 시간입니다.
유려한 문장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김연수 작가는 1993년 『작가세계』 여름호에 시를 발표하고, 1994년 장편소설 『가면을 가리키며 걷기』로 제3회 작가세계문학상을 수상하며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 『꾿빠이, 이상』으로 2001년 동서문학상을, 소설집 『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로 2003년 동인문학상을, 소설집 『나는 유령작가입니다』로 2005년 대산문학상을, 단편소설 「달로 간 코미디언」으로 2007년 황순원문학상을, 단편소설 「산책하는 이들의 다섯 가지 즐거움」으로 2009년 이상문학상을 수상했다. 그 외에 장편소설 『7번국도 Revisited』 『사랑이라니, 선영아』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밤은 노래한다』 『원더보이』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소설집 『스무 살』 『세계의 끝 여자친구』 『사월의 미, 칠월의 솔』, 산문집 『청춘의 문장들』 『여행할 권리』 『우리가 보낸 순간』 『 지지 않는다는 말』 『소설가의 일』 『시절일기』 『대책 없이 해피엔딩』(공저)이 있다.
기묘한 상상력으로 불명료한 현실의 이면을 그려내는 편혜영 작가는 2000년 『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했으며, 소설집 『아오이가든』 『사육장 쪽으로』 『저녁의 구애』 『밤이 지나간다』, 장편소설 『재와 빨강』 『서쪽 숲에 갔다』 『선의 법칙』 『홀THE HOLE』 『죽은 자로 하여금 』이 있다. 한국일보문학상, 이효석문학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젊은작가상, 동인문학상, 이상문학상, 현대문학상, 셜리 잭슨상을 수상했다.
특유의 명랑한 상상력으로 현실의 아픔을 따스하게 어루만지는 정세랑 작가는2013년 『이만큼 가까이』로 창비장편소설상을, 2017년 『피프티 피플』로 한국일보문학상을 받았다. 소설집 『옥상에서 만나요』『 목소리를 드릴게요』『아라의 소설』, 장편소설 『덧니가 보고 싶어』『지구에서 한아뿐』『재인, 재욱, 재훈』 『보건교사 안은영』『시선으로부터,』, 산문집 『지구인만큼 지구를 사랑할 순 없어』 등이 있다.
별스럽지 않게 보낸 여행지에서의 한 시기가 떠오르는 박솔뫼 작가는 2009년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후 여러 편의 소설집과 장편소설을 출간했다. 소설집 『그럼 무얼 부르지』 『겨울의 눈빛』 『우리의 사람들』 『믿음의 개는 시간을 저버리지 않으며』, 장편소설 『백 행을 쓰고 싶다』 『도시의 시간』 『머리부터 천천히』 『미래 산책 연습』 등이 있다.